오늘은 공유미용실 사업 접근방법과 수익구조등 사업성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보고자 한다.

 

1. 사업 조건

첫째, 미용실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미용자격증이 필요하다.

그게 아니라면 임대사업자로 등록하고, 사업자등록을 가진 미용사들을 영입할수도 있고,

법인을 세워서 자격증없이 진행하는 방법이 있다고는 했지만 잘 모르겠다.

 

둘째, 공간이 필요하다. 부동산을 말하는데, 이부분이 매우 까다롭다.

 

셋째, 디자이너

 

넷째, 장비 및 인테리어

 

2. 손익구조

비용 :

건물 임대료,

인테리어,

장비,

재료,

시설 운영비용,

관리인을 고용한다면 관리 매니저 비용

 

수익 :

디자이너에게 고정으로 받는 금액,

디자이너 매출에 비례해 받는 금액(선택적), 제품 및 시설 관리 이용료로 받는 금액,

디자이너 외 네일샵 등 기타 인원이 입점하는 금액

 

3. Key factor

(1) 부동산 임대 : 부동산을 이미 보유하고 있다면 해봐도 좋은 사업인것 같다.

                      하지만 임대료를 이겨내는 일은 많은 계산이 필요하다.

 

(2) 디자이너 수급 : 디자이너 공실이 가장 큰 리스크. 디자이너 수급에 문제가 생겨 공실이 생기면

                         임대료 및 운영비용에 대한 부담을 고스란히 공유미용실 운영자가 떠안는다.

 

손익에 대한 가정 :

1. 강남역 월세를 2천만원으로 가정하고 나머지 매월 나가는 비용을 가정해봄

2. 하지만 이미 인테리어와 장비에 큰 비용을 쓴 상태임

3. 따라서 디자이너들이 입점하면 이 비용을 갚아나가야함

4. 최소한은 고정비가 아닌 월세정도는 지속적으로 낼 정도로 버텨야함

 

--> 결론

1. 임대료가 싼 곳을 구하든

2. 디자이너에게 많은 돈을 받든

3. 줄일 수 있는걸 최대한으로 할지, 럭셔리하게 갈지 고민해봐야 함

 

다음시간엔 기존의 업체들이 어떤 아이디어로 공유미용실을 냈을지 추론해보도록 하겠다.

그렇다면 주요 공유미용실 업체들은 어떤 점유율과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업체 지점수 지점 공석비중 주요위치
세븐스 5 (오픈형구조) 강남점(5)
합정점(9)
정자점, 부천점(8)
일산점(8)
서울
로위 4 홍대점(5)
신촌점(7)
합정점(12)
홍대입구점(13)
서울
아데르 4 역삼점(6)
홍대점(16)
판교점(2)
신사(접수중)
서울
팔레트h 4 강남역점(13)
도산점(11)
신중동점
부천점(접수중)
서울
어반부띠끄 1 신사(5) 서울

1. 세븐스

- 사업강점 : 사업리스크 최소화, 자율결정권, AR 살롱 서비스, 포토스튜디오, 수익구조 개선

- 주요시스템 : 전용공감, 매니저파견(본사매니저 파견), 청소, 시설관리, 자율업무 및 휴무, 멤버 전용 앱지원 : 재료 구매, 모델 모집등 앱으로 신청

- 계약기간 : 1~12개월

- 직원채용 : 본사 파견 매니저, 디자이너별 별도 채용가능

* 원래 사장님께서 미용실을 다수 보유하신 분이라는 썰이 있음

 

2. 아데르

- 개인공간 분리, 접근성, 공동세탁, 관리자 지원

- 계약기간은 6개월부터 가능

- 비용 : 시설 및 장비 월렌트비용, 고객응대, 마케팅, 위생관리, 운영지원, 인력채용 대행

 

 

안녕하세요. 푸파입니다.

 

요즘 공유미용실이 매우 핫한데요?

공유 오피스는 들어봤지만, 공유미용실은 어떤걸까요?

 

디자이너에겐 아래와 같은 고민을 해결해줄 수 있는 장소입니다.

1. 기존 미용실에서 수익을 나눠갔던 구조에서, 본인이 하는만큼 가져가는 구조로 변경

   (가령 3:7, 4:6 과 같은 수익 비율에서 탈피해서 본인이 자유롭게 일하며 수익창출 가능)

2. 개인이 개업을 하기에는 해당 장소의 임대료가 너무 비싸고, 그렇게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공유미용실의 작은 부분만 이용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비용 구조는 정기적인 월세+이용료 형식으로 가는 곳도 있고, 수익에 대한 비율을 가져가는 곳, 섞어서 운영하는 곳이 있다고 합니다.)

 

위에 보이는 업체들을 예로들어서 한곳 한곳 가보면 되는데요.

공유미용실별 특징은 2탄에서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푸파입니다.

오늘 포스팅드릴 음식점은 바로 번패티번! 맛있는 버거집이죠.

다른 현대백화점에 가도 번패티번이 있으니, 맛은 어느정도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잘 갖춘것 같아요!

 

주소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146번길 20 현대백화점 판교점 5층

전화번호 : 031-5170-1517

 

*** 현대백화점 5층 CGV를 찾아가다보면 그 바로앞에 번패티번이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전 갈때마다 이상하게 번패티번 버거를 시키는데, 다른 버거들도 정말 맛있답니다!

세트메뉴는 추가금액이 4,500원, 5,500원씩 붙으니 알아두시고요~

친절하신 사장님도 무지 친절하세요!

안녕하세요. 푸파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내용은 바로 홍콩 주식시장 클래스 분류입니다.

일반적으로 중국 주식 펀드를 사게되면 그 안에는 모두 중국 본토의 주식만 담긴게 아니랍니다.

또한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경우 중국주식이라고 해도, 중국이 아닌 홍콩 거래소를 통해 주식 거래를 하는데요.

 

홍콩 주식 클래스는 크게 H Share, Red chip, P Chip 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간단하게 아래 표를 먼저 보시죠.

 

이와같이 크게는 세가지 종류로 구분해서 Class 를 볼 수 있습니다.

1. 먼저 H share는 홍콩에서 HKD 로 발행한 중국 본토기업 주식입니다.

2. 반면, Chip 이라는 말이 든어간 기업은 중국 본토에 있는 기업은 아니지만, 중국 본토에서 매출이 55% 이상 발생하는 기업을 의미합니다. (Red chip 은 주주가 중국정부, P chip 은 주주가 민영기업)

3. 만약 외국 기업이 홍콩에 상장하고 중국본토에 매출비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경우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간략히 홍콩 주식 class 구분을 알아봤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음식점은 판교에 있는 카츠소당 입니다.

 

점심때 직장인들이 굉장히 붐비는 곳이라, 12시즘 가면 줄을 설때가 있더라고요.

 

주소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231 1층 125호

메뉴 :

수제돈카츠(8,500원), 치즈 돈카츠(10,500원), 카츠소당세트(12,000원), 소당세트(11,000원), 치킨카츠(8,000원), 생선카츠(9,000원), 자루소바(8,000원)

 

개인적으로 돈가스 고기 두깨가 두꺼워서 만족스러웠고, 튀김은 많이 바삭해서 먹기 힘든 느낌이 드는 그런 음식점이였습니다. 고기를 많이 느껴보고싶다면 추천!

 

요즘 금융권 TDF 시장이 매우 핫합니다.

TDF 운용규모는 2021년초 5조원대에서 2022년초 10조원대로 1년만에 두배의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주식이 관심을 받은것 까지는 알겠지만, 도대체 TDF는 왜이런 증가세를 보일까?

 

한 투자권유대행인을 만났을때 했던말이 TDF 라는 상품은 팔기 참 좋고, 팔고나서도 괜찮은 상품이라는 얘길 들었다.

개개 펀드의 변동성에 대한 설명을 할 이유도 적고, 특히나 글로벌 펀드를 담은 운용사의 경우 설명하기도 오히려 어렵다. (물론 수익률과 변동성으로 얘기해야겠지만, 다들 본인이 넣은 돈이 없어질까봐 불안해하지 않는가?)

 

TDF 시장분석, 개별 펀드분석을 하고 있지만, 오늘은 쉬어가는 차원에서 TDF에 들어가는 Glide path 에 대한 논문 한가지를 보고자 한다.

 

- 논문 제목 : Dynamic Glide Path using Retirement Target Date and Forecast Volatility

은퇴 시점과 예측 변동성을 고려한 동적 Glide Path

- 저자 : 김선웅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트레이딩시스템전공 교수)

 

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투자자의 은퇴 시점뿐만 아니라 시장의 예측 변동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Target Date Fund의 위험자산 편입 비율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새로운 Glide Path를 제안하고, 은퇴 시점만 고려하여 위험자산 편입 비율이 정해지는 전통적 Glide Path와 투자 성과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시장 변동성의 예측치로는 역사적 변동성, 시계열모형인 GARCH 변동성, 그리고 변동성지수인 VKOSPI를 활용하였으며, 2003년부터 2020년까지 의 분석 기간에서 변동성을 고려하는 새로운 동적 Glide Path의 투자 성과가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3가지 변동성 예측모형 모두에서 은퇴 시점만을 고려하는 Glide Path보다 수익률은 더 높고 위험은 더 낮아지면서 투자 성과 지표인 Sharpe Ratio가 개선되었다. 실증 분석 결과는 은퇴예정자뿐만 아니라 Target Date Fund 운용업계에 새로운 Glide Path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푸파의 정리 :

기존의 Glide path 는 자산배분이 매우 고정돼있으나, 시장 변동성을 예측하여 동적 Glide path를 만든다면 더 높은 수익률과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로 든 경제 위기 상황에서 Glide path 이 많은 주식 비중을 담고 있다면, 투자자들은 손실을 안게되고, 그 결과로 Target date 에 수취하는 수익이 줄어드는 현상을 들었다. 

 

초반에 읽으면서 의아했던 점은 도대체 어떻게 변동성을 미리 예측하고 대비해서 자산배분을 조절하느냐였다.

교수님께서 내세운 점은 변동성지수 VIX 를 이용하는 것이다. 변동성은 표준편차로 측정하는데, 변동성과 수익률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따라서 수익률이 오를때 VIX는 낮아지는데, 수익률이 떨어질때의 VIX는 비대칭적인 모습을 보이며 과도하게 오른다. 

 

따라서 교수님께서는 이 변동성지수가 급격히 오를때, 자산배분에 조정을 줄 수 있다고 한다. 이부분이 내가 새롭게 배우고 신기하다고 여긴 지점이다.

 

시장이 위험하다고 느끼는 지금같은 시점... 2021년 미국 주식의 과도한 상승에 불안할때, VIX 로 조금씩 헷지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출처 : Dynamic Glide Path using Retirement Target Date and Forecast Volatility, 김선웅,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트레이딩시스템전공 교수,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11. No. 2, pp. 82-89, 2021

'연금 및 TDF'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용사별 TDF 순위(22년 3월말 기준)  (0) 2022.04.29

판교 알파리움에 있는 [돈블랑]이라는 곳에 갔다.

 

돈블랑, 예전엔 순대국밥을 팔던 곳이였다는데 지금은 [돼지국밥]을 팔고있었다.

이게 왠 땡큐인가? 사실 내가 아는 둘의 차이라고는 순대의 유무일 뿐이라서 그냥 가버렸다.

 

실내는 이렇게 생겼는데, 내가 좋아하는 깔끔한? 그리고 조금 비싼? 그런 음식점이였다.

내돈내고 먹는날이 아니라서 마냥 기분이 좋았다.

 

그렇다면 가격은 어떻다는 말인가?

 

 

그렇다. 가격이 저렴한 그런 음식점은 아니다.

나는 수육도 시켰는데 양이 많진 않았다.

하지만 전반적인 퀄리티가 매우 높다고 느꼈는데, 사진은 아래와 같다.

 

 

매우... 맛있다. 어떻게 이럴수 있을까? 

회사에서는 조금 걸어야하지만 매우 추천한다.

내가 다음에 올 곳으로 하나 적어놓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