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부도의 날>
제목부터 듣기 좋은 내용은 아니다. IMF사태는 대한민국이 광복이후 겪은 많은 사건들중 온국민을 매우 힘들게 했던 중요한 사건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영화의 배경이 된 시기가 내게는 초등학교 시절이였고, 그당시 어른들만큼 상황을 인식하진 못했겠지만 내게는 리만사태보다 더 큰 일이라고 지금까지도 여겨진다.
1. 영화속 각 기관들의 역할
영화에 나오는 기관 및 인물은 한국은행, 청와대 경제수석, 재정국 차관, 종금사, 투자일임으로 이뤄져있다. 그리고 극중 일반인을 대변하는 그릇공장이 나온다. 김혜수가 연기한 한국은행은 사실 금리조정을 하는 역할을 하지만 김혜수는 금융 위기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는 역할을 한다. 많은 위험을 보고했음에도 정부에서 미리 대처하지 못해서 큰 문제가 발생했다. 기재부는 경제 정책에 대한 결정을 하는것으로 나온다. 하지만 당시 실무적인 결정을 하는 곳이 기재부였는지 의문이 들긴한다. 유아인이 연기한 고려종금이라는 곳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기업들에게 다량의 어음을 발행한 제2금융권 역할을 한다. 사실상 이런 종금사들의 무분별한 어음발행이 국가부도에 크게 영영향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물론 이것만이 문제는 아니겠지만) 그리고 유아인이 차린 회사에 대한 정의가 영화에 자세히 나오진 않아 정의하기는 어려운 것 같다.
느낌점
1) 국가차원의 역할
영화에서는 IMF냐 부도처리를 하느냐 등등 말이 많지만, 무엇이 맞냐에 대한걸 묻는 질문을 조금 바꿔야한다. 정말 중요한건 “예방”이라고 생각한다. “문제를 미리 파악하고 대처했더라면!” 이라는 생각이 먼저 든다. 그만큼 문제가 커지고나면 막기가 힘든게 금융분야인 것 같다.
2) 투자의 관점
주식에도 소위말하는 누구나 버는 장이 있다. 하지만 실력은 상황이 힘들어졌을 때 나타난다. IMF사태로 국가부도까지 가려는 상황에서 돈을 벌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을 하는 사람이 얼마나될까? 투자라는 것은 변화의 흐름이 생길 때 어떤 방향으로든 가능성이 발생한다.
돈을 버는 것 자체만으로 행복한 것일까? 후반부 유아인이 노래방에서 나와서 걷는 장면을 볼 때, 유아인은 돈을 번 것이 마냥 행복할까? 생각해봤다. 내가 예측한 것이 맞아들어갈 때 그 기쁨은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이 무너지는것에 베팅을 하는일이 돈은 벌겠지만 힘들어하는 서민들 속에서 어떤 감정을 가질까? 이와 같은 여운이 남는다.
'영화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프리 가이 (와 메타버스에 대한 생각) (0) | 2021.08.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