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 제가 소개해드릴 내용은 report 2mile base, report 3mile final 과같은 ATC 내용입니다.
공항에 진입하여 Traffic pattern에 에 들어갈 때는 보통 아래와 같이 Entry 45 degree downwind를 합니다.

 

 


Downwind로 진입해 Turn Base, Turn Final 이후 그림과 같은 순서로 Runway로 들어오게 됩니다.

하지만 Tower는 Downwind가 아닌 Base, Final로 바로 오라고 지시하기도 하는데요.
이는 항공기의 위치에 따라 혹은 공항의 사정에 따라 지시하게 돼있어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지시했다고 가정해 봅니다.
1. Report a three-mile right base to runway 18

 

 

출처 : The Pilot's Handbook by Scott Todd

- A 항공기의 위치를 보시면 왜 Base로 바로 오라고 했는지 아시겠죠?
  Left traffic pattern 인데, 항공기의 위치를 보시면 Pattern에 진입하기엔 많이 돌아와야 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이럴땐 Downwind로 돌아오지말고, 바로 Base로 진입하라는 의도를 갖고 있습니다.

- 많은 분들이 2mile, 3mile base 라고하면 그 기준이 어디냐고 물어볼텐데요.
  기준은 Final이 시작하는 곳으로부터 거리를 뜻합니다.
   일반적인 Base의 길이는 1/2, 1 mile 인데, 그것보다 연장된 곳에서 report 하라는 뜻이죠

2. Report a right base to a three-mile final
- 그렇다면 Right base라는건 무슨 뜻일까요?
Right와 Left 는 Pattern의 방향을 말하는데, 간단하게 생각해서
Right / Left로 Turn 을 해서 Base 에 진입하라는 의미로 생각시면 됩니다.

실수하기 쉬운 경우를 들어보겠습니다.
Report(혹은 make) left downwind라고 하면, Runway가 나로부터 어디있는지 생각하고, pattern의 방향을 생각하면 매우 힘들겠죠?
이럴땐 Left Turn으로 Down wind에 진입할 수 있다는걸 뜻합니다. (작은 공항은 Traffic이 적을 경우 Tower에서 패턴 방향이 있지만 진입할때만 패턴과 상관없는 방향으로 Downwind를 주고, 다음 패턴부터 원래 모양으로 만들어주기도 하죠)

예) 1번 방법 (혹은 Tear drop entry 는 매우 힘드므로), 이런경우 2번 방법으로 첫번째 랜딩을 하고, 그 다음부터는 원래 패턴방향으로 비행을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태어나 처음으로 들은 MVA 라는 개념에 대해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보통 IFR 공부를 할때 MEA 라는 말은 들어봤어도 MVA 라는 말은 처음 들어봤을텐데요?!

오늘 배운 점 :
1. Approach contact 전 일정 고도 이상은 비행해야 한다.
2. Un-control airport 에서 IFR filing 시, 구름이 많으면 가급적 전화로 하고, 구름이 없으면 공중에서 컨택하자.
3. 다른 공항의 Final approach course 를 막지 말자.
4. 내가 비행하는 공역을 신경쓸것

아래 상황을 통해 한번 공부해보죠.
상황 설명 :
1. SCT 030 을 보고 나갔으나 실재로는 Ceiling 1500 정도로 바뀌어 버림
2. KDAB 출발 - X50 에서 랜딩연습 후, 상황봐서 Maneuvering 시도
3. 하지만 X50 에 가서는 막상 Pattern Altitude 도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 되버림

4. X50 에 내려서 Full Stop 후, IFR File

 

** Un-Control Airport 에서 IFR file 한다면 어떻게 비행해야 하는가?
1. Call to FSS - get the clearance from them - they will give us clearance void time (ex. 현재 시간 1400 - void time 1420 으로 줌) - You need to Depart and contact Approach within that time, if not, you need to cancel this or you need to amend your departure time within 30 min (if not, they will search and rescue)

2. Just file through Foreflight (whatever method) - contact approach in the air

But, I had a huge problem in this moment

< Ceiling was too low, so I just remain 1,000' >

< Heading to KDAB (Class C area)>

 

Me : Daytona approach, N 00000, we're 4mile east of X50, I'd like to pick up IFR with information L

A : N 00000, Daytona approach, remain outside of C, Squwk 0263, can you climb VFR 2,000 ft ?
Me : Negative

A : You need at least 1500 ft to issue your IFR
--> I didn't understand why I need 1,500 ft,
--> then, just stay 1,000, with blocking KEVB Final course (Where I was circling)

A : You are below vectoring altitude, you need at least 1,400 ft

A : Do not cut off the final. They extend the centerline for the final 25 at KEVB.
--> When I'm circling, I was near PELYO (fix)
--> It cut off the final course of KEVB runway.

A : You need to reverse or make a turn East.

What is the MVA?? (When you get to FAA website, you can check the minimum altitude for getting vector)
Below picture is of KDAB info.
That's why you need to maintain certain altitude before contact Approach.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 드론 파일럿 자격 취득법에대해 알아볼텐데요.
<구조>
1. 왜 드론 파일럿인가?
2. 미국에서 드론 파일럿 자격을 취득하는 방법
3. Part 61, 즉 이미 비행기 조종사 자격이 있다면 좀 더 수월하다.

1. 왜 드론 파일럿인가?
드론 조종은 현재에도 빈번이 사용되지만, 미래에 더 기대가 큰 분야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될까요?

 

1) 현재 사용 용도
- 군사 목적
- 농약
- 촬영 (웨딩 촬영, 광고, 영화 촬영)
2) 미래 사용 용도
- 화물 운송
- 비행기 자율주행

- 군사목적 : 여기 쓰이는 드론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DJI 같은 소형 드론은 아니에요. 아래 그림과 같이 큰 무인기를 사용하고, Control center 도 따로 갖추고 있죠.

 

- 농약 : 드론으로 농약을 뿌리면 사람이 손으로 농약을 뿌리던 때보다 더 짧은 시간에 농약을 뿌릴수 있어 노동력과 시간이 절약된다고 해요. 또한 원하는곳에 적정량의 농약만 살포하니 농약도 상대적으로 적게 쓸 수 있겠죠?



- 촬영 : 과거 헬기로 가능했던 촬영작업이 이제 점점 드론 촬영으로 대체되고 있다고 해요. 이런 드론 영상은 개인의 여행 영상을 제작할때도 많이 사용되죠.

2) 미래의 드론 사용
- 화물 운송 : 구글 윙
아마존 PRIME 으로 유명한 아마존이 드론 배송을 하겠다고 계획했죠. 지금은 아마존 보다 구글이 먼저 FAA (미 연방항공청) 로 부턴 드론 배송 사업을 승인 받았습니다. (구글 윙, 2019년 4월) 물론 2년간 유효한 한시적 승인이라 미래를 알 순 없지만 드론 배송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빨리 세상에 나올 수도 있겠어요.

- 비행기 자율주행 : 드론 무인 비행이 더 본격화되고 기술이 발달한다면, 이 기술이 사람을 운송하는 수단에도 적용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2. 미국에서 드론 파일럿 자격을 취득하는 방법
FAA 웹사이트에 가면 아래와 같이 상업용 드론 파일럿 자격증(Part. 107)을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이 자세히 나와 있어요.

https://www.faa.gov/uas/commercial_operators/become_a_drone_pilot/

크게 First-time pilots / Existing Part 61 Certificate Holders (항공기 조종사 자격증을 이미 갖고 있는 경우) 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그 방법은 약간 달라요.

 

만약 기존에 Part 61, 즉 항공기 조종사 자격증이 없다면 FAA UAG Knowledge test 를 꼭 봐야합니다. 하지만 만약 Part61 자격이 있다면 간단히 online course 를 듣는것만으로도 자격이 취득 가능한데요. 현재로써 가장 큰 장점은 Practical test flight 즉 실비행을 하지 않고도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언젠간 Part 107 법 및 기타 시험 조건도 더 복잡해 지겠죠?

Part 61 인 경우, online course 를 위해서는 아래 웹사이트로 들어가셔야 합니다.

https://www.faasafety.gov/default.aspx

들어가셔서 ID / Pass 를 만들고 로그인 하신뒤, 검색어에 <107>, 그중에서 initial 부분을 찾아서 들어가세요. 아래 동영상 버튼을 누르시면 교육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exam 을 마치시면 IACRA 등록이 가능합니다.

 

IACRA 등록 이후에, 근처 FSDO 웹사이트에 등록된 DPE 를 찾으시거나, 비행학교의 CFI 로부터 자격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CFI 는 그자리에서 temporary certificate을 발급할 순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추가로 질문이 있으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