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개인적인 투자 기준을 세우고자 한다.
1. 시장상황을 긍정/중립/부정 으로 객관화하여 바라볼 필요가 있다.
- 금리, 환율
- 코스피, 코스닥, S&P500, 나스닥 지수
- 거래량, 거래대금, 예탁금, 외국인/기관 순매수
2. Smart money를 쫓는다.
기업의 기본적 분석이 매우 중요하다.
잃더라도 가능성 있는 회사에 물려 있는게 좋다.
그것은 애널리스트와 기관 투자자의 역할!
즉, 나는 코스피/코스닥 기관 순매수 1개월 누적 상위 종목 추려서 투자한다.
3. 추세 판단
이렇게 종목을 추렸다면, 종목별 추세를 판단해야한다.
상승추세가 아니라면, 그리고 하락추세의 반전도 잃어나지 않았다면 버린다.
★ 전 고점을 살피자. 그것을 돌파하고 사도 늦지 않다.
★ 추세 반전시 양봉이 어떻게 잘 나오는지 보는게 중요하다.
4. 모양을 보자. (변동성을 판단해보자.)
1) 삼중바닥 상승형 : 상승추세를 보여주다가 --> 횡보하며 힘을 모으는 종목
2) 파이프 바닥형 : 위의 기관 상위 종목중 전일 하락마감후 당일 더큰 양봉으로 보답한다면 잡자.
3) 거래량 폭발형 : 거래량 폭발 및 주가 상승후, 다음날 캔들(몸통이 작고 중앙에 위치했는데, 위아래 긴 꼬리를 가진 음봉 + 거래량 급감한 종목(이들 모두 단기 이평선 위에 위치)
4) 깃발형 : 3)과 유사하나 그런 모양으로 작은 캔들이 횡보하는 모양
--> 나는 이 모양들에 집중한다.
5. 매수 수량 및 손절가 고려
'금융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분석] 2023.02.20. 2023년 2월 누계 기관 순매수 상위 20 (0) | 2023.02.20 |
---|---|
[주식분석] 20230217_장대음봉 기록 (0) | 2023.02.17 |
[주식분석] 삼강엠앤티 차트분석_20230217 (0) | 2023.02.17 |
[주식분석] 토마스 불코우스키의 차트분석 (0) | 2023.02.17 |
[주식분석] 래리윌리엄스 변동성 돌파전략 (0) | 2023.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