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은 잘못이 없다. 다만 그때 들어간 내가 잘못이지..
내가 종종하는 생각이다.
내가 좋다고 생각하고 들어가도 버티다가 상처받고 떠나면 오르는 종목들
정확한 타이밍이야 있겠냐마는 타이밍을 알수 없다고 한다면 투자라는걸 하기가 너무 어려울 것 같다.
차트로 돈을 번 사람이 있다고 하니 또 한번 귀 기울여본다.
1. 추세선
추세선의 조건
1) 두개의 꼭지점을 통해 그음
2) 추세선은 주가를 침범해서 그을 수 없음 (중간에 주가를 지나가면 안됨)
3) 추세선을 이탈하면 추세의 변화로 인식하고 매매에 활용 할 수 있음
4) 추세선 이탈시 바로 매매하지 않고, 다음날 시가와 종가를 보며 상승을 확인하고 매매
좋은 추세선의 조건
1) 추세선과 주가의 접점이 많을 수록 좋다.
2) 접점간의 간격이 넓을 수록 좋다. (긴 기간, 신뢰도 상승)
3) 추세선의 길이가 길고, 기울기가 낮을 수록 좋다.
4) 하향 추세선의 경우 거래량이 줄어들수록 좋고, 상향추세선에서 거래량 상승시 매도
5) 하향추세선의 경우 전날 캔들이 양봉 혹은 캔들이 망치형일 때 좋다.
6) 상승이탈시 시가가 추세선 위에 위치할 수록 좋다. (그리고 상승 마감을 해야 오른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추세선 위에 올랐지만 하락 마감, 즉 음봉이면 좋지 않다.)
현대미포조선의 차트이다.
1. 물론 한번 주가를 지나가긴 했지만, 다음날 양봉으로 회복한 모습도 있다.
2.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긴 기간 많은 점을 만난 만큼 신뢰도가 높아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주가의 밀집구간의 중요성 : 이분 역시 밀집구간 --> 즉 횡보하는 구간에 대해 강조했고, 그만큼 집중해야겠다.
2. 피보나치 되돌림
HTS에 피보나치 되돌림 설정을 하고,
38.2%, 50%, 61.8% 에서 지지와 저항을 받는다고 하는데, 보조지표 정도로만 사용해야겠다.
3. 다양한 차트 패턴
1. 높고 조밀한 깃발형
1) 90% 혹은 2배가량 가격 상승 (단, 수직상승이 아닌 일정 기간을 둔 상승)
2) 추세선 혹은 전고점위로 종가가 올라갔을때 매수타이밍
3) 주가가 밀집되어 있어야 함 (15일 이내)
4) 그 기간 주가 하락추세 + 거래량 하락 (즉, 매도세가 꺽인 시기)
매도시점 : 나의 매수가+(내가 인식한 최초의, 가까운 고점-매도시기는 2배가 오르기 시작한 지점)/2
2. 파이프 바닥형
1) 주간차트를 활용하여 찾는다.
2) 하락추세의 바닥 부근에서 찾는다.
3) 직전 봉보다 봉의 길이가 길다. (길면 길수록 좋다.)
4) 두개의 봉 중 하나 또는 모두 거래량이 많다.
5) 일봉차트에서 최고가 위에서 매수, 전고점에서 매도한다.
3. 삼중 상승 바닥형
1) 바닥의 폭과 너비 비슷한지 확인
2) 바닥의 저점 상승 확인
3) 거래량 감소세 확인
Opinion
앞으로 실전으로 기록을 쌓아봐야겠다.
'금융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분석] 20230217_장대음봉 기록 (0) | 2023.02.17 |
---|---|
[주식분석] 삼강엠앤티 차트분석_20230217 (0) | 2023.02.17 |
[주식분석] 래리윌리엄스 변동성 돌파전략 (0) | 2023.02.17 |
[주식분석] 환율과 코스닥, S&P500 지수 (0) | 2023.02.16 |
[주식]삼성전자 주가에 대한 생각(전망) (0) | 2022.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