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제조업에 발이 묶였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가는 길을 놓쳤다.' 라는 얘기가 오늘 식사자리에서 나왔다. 이는 내가 해본 생각은 아니고, 우연히 같이 고민해봤던 문제이다. 도대체 무슨말일까? 한국이 전통적인 제조업에 강점을 두고 있지만, <오늘의 집>, <당근마켓>처럼 플랫폼 기업도 나오고 있고, K-pop, K-drama 와 같은 문화산업도 발전중인데 도대체 왜 이런 말들을 내놓았을까?
우선 첫번째로 나온 논리는 유럽과 한국의 1인당 생산성에 대한 오해와 개인이 생산하는 부가가치의 질에 대한 얘기였다.
한국인이 일을 열심히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개인의 생산성을 금전으로 환산한다면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이 더 많은 돈을 벌어다 준다는 것이다. 이는 왜 그럴까? 선박을 얘로 들면, 우리나라가 선박 수주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지만 정작 그 선박 제조를 위한 설계도면은 외국의 라이센스에서 온다는 것이다. 내가 화학회사에 다닐 때에도 결국 생산라인 제작을 위한 라이센스는 프랑스에서 왔고, 막대한 자금을 프랑스 회사에 지급했다. 정작 프랑스에는 공장이 별로 없고 해외에 많이 있는데, 이들은 이렇게 지적 재산권 사업으로 전향을 이미 오래전부터 해왔던 것이다.
그래 우리의 부가가치는 매우 떨어진다. 그들이 오래전부터 이런 패권을 유지해왔다. 우리는 아직도 범용 제품 생산을 더 빨리 하는데 치중한다. 내가 일하던 LG화학에서도 매번 중국 경쟁사가 커지고 있다며, 문제를 논의한다. 그리고 나오는 결론이 특수한 제품, customize 한 제품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증설 계획, 더 싼 원재료 조달이다. 조선, 자동차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우리도 변화할 수 있지 않은가? 때로는 증가하는 인구가 때로는 몰려드는 자본이 새로운 산업을 일으켜 왔지 않은가? 대기업 혹은 연배가 있으신 사장님의 아이디어는 창의적이지 않을 수 있지만, 나는 한국의 젋은 작가들이 만드는 웹툰 문화와 같은 아이디어 산업을 지지한다. 개인에게 보상이 돌아가는 구조. 그렇기에 더 양질의 웹툰이 나오는 선순환 구조. 이것은 소비자들이 더 많이 한국의 웹툰을 찾게하는 원동력이 된다고 생각한다.
이에대한 반론으로, 지금 당장은 먹고살만하니 문화가 융성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로마, 그리스의 전성시대, 르네상스 시대 등 문화적 활동이 많았던 시기는 사람들이 먹고살만해서 그 이상의 것을 찾을 수 있을 때라는 것이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로 인구 감소를 들면서 반론을 제기한다. 앞으로 먹고 살게 적어진다면, 그리고 윗 세대를 부양하기 위해 내것이 줄어든다면, 그래서 더 발버둥치며 돈을 벌어야 한다면 과연 이렇게 사람들이 딴생각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인 것이다. 이제 국민연금, 건강보험료를 높인다는게 그 시작점이 될 수 있겠다. 건보료 인상은 이제 시작이다. 창의적인 세계, 지식산업으로 가야할 인재들은 윗세대 부양에 갖혀 더 많은 단순 노동의 세계로 내몰릴 처지에 있다.
그렇다고 쉽사리 한국을 떠날 수 있는것도 아니고, 다른곳에 간다고 행복과 평안이 있을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내가 어렷을때 자라면서 예측했던 세상과 지금은 너무나도 다르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럴 수록 더 빨리 내것을 찾아야한다는 생각을 해본다.
'생각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기 2022.06.21 조종사는 창의적일까 (0) | 2022.06.21 |
---|---|
일기 2022.06.20 (0) | 2022.06.20 |
일기 2022.06.17 (0) | 2022.06.17 |
왜 메타버스에 대한 공부를 하는가? (04.22.2022) (0) | 2022.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