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스 목차] --> URL 클릭시 기사보기 / 기사 사진 클릭시 확대 가능

1. 메타버스와 가상세계

1 제페토에 첫 공개된 BTS 메타버스 상품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it/view/2022/05/386208/

 

제페토에 첫 공개된 BTS 메타버스 상품

방탄소년단(BTS) 공연 관련 상품이 메타버스에서 처음 공개됐다. 제페토를 운영하는 네이버제트와 BTS 소속사 하이브는 지난달 7~30일 기간 한정으로 작년 말부터 올해 초 대면으로 열린 BTS 콘서트

www.mk.co.kr

2 세상에 없던 게임 만들자 넥슨, 핵심인재 영입 총력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20429000227

 

넥슨 신규개발본부 집중 채용.. "없던 게임 만든다"

넥슨 신규개발본부가 프로젝트MOD와 페이스플레이 개발 인력을 집중 채용한다. 총 14개 부문에서 두 자릿수 인력을 채용할 예정이다. 넥슨은 인재 영입을 기반으로 기존 정형화됐던 게임개발 문

www.etnews.com

 

2. 암호화폐

3 업비트만 쓰기엔 … 코인 거래소 ‘마이너스 수수료’ 유혹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50152591

 

업비트만 쓴다고?…코인 거래소 '마이너스 수수료' 유혹

업비트만 쓴다고?…코인 거래소 '마이너스 수수료' 유혹, Cover Story 암호화폐 거래소 비교해보니 고팍스가 쏘아올린 공 절대강자 업비트 독주 속 코빗·고팍스 잇단 수수료 인하 투자자 유치 경쟁

www.hankyung.com

4 시가총액 2000억원인데 … ‘페이코인’ 휴지조각 되나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50152951

 

시가총액 2000억원인데…'페이코인' 결제서비스 위법 판단 나오나

시가총액 2000억원인데…'페이코인' 결제서비스 위법 판단 나오나, "3주내로 사업 변경 신고" 금융당국, 결제사업 중단 압박

www.hankyung.com

 

3. NFT와 웹3.0

5 구석기 동굴벽화 늑대, 메타버스서 NFT와 만나다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22/05/386375/

 

구석기 동굴벽화 늑대, 메타버스서 NFT와 만나다

`미디어아트 거장` 히토 슈타이얼 국립현대미술관서 亞 첫 개인전 다큐 영화로 출발…철학적 담론 디지털시대 이미지 역할 재조명

www.mk.co.kr

6 일반인도 문화예술품 소장 매매 조각투자로 편의 신뢰 두 토끼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20429000035

 

[박정호의 미리 가 본 미래]〈26〉NFT의 미래

2020년 국내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가 암호자산이었다면 2021년은 NFT라 할 수 있다. NFT 시장이 2020년부터 급성장했기 때문이다. NFT 조사기관 논펀저블(NonFungible)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거래량은 20억

www.etnews.com

7 엘에스웨어, 예술품 NFT 마켓플레이스 탐탐 선봬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20429000153

 

엘에스웨어, '2022 ICT 기술사업화 페스티벌'서 예술품 NFT 마켓플레이스 탐탐 선봬

엘에스웨어는 최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2 ICT 기술사업화 페스티벌에 참가했다고 1일 밝혔다. 회사는 행사를 통해 자사 대체불가능토큰(NFT)+마켓플레이스 탐탐(TAMTAM)을 소개했다. 탐탐은 디

www.etnews.com

8 PGA도 올라탄 ‘NFT 열풍’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golf/article/2022050153251

 

PGA도 올라탄 'NFT 열풍'

PGA도 올라탄 'NFT 열풍', 선수들 사인·초상화 등 NFT로 페덱스컵 상위 30위에 5만불 지급

www.hankyung.com

9 학력보다 학습 능력   디지털 자격 증명 뜬다 전자신문 https://www.etnews.com/20220429000237

 

학력 대신에 학습 경력, '디지털 자격 증명' 부상

디지털 자격 증명 시대가 도래했다. 기업과 대학이 도입하기 시작한 디지털 자격 증명이 정부와 교육기관 등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디지털 100만 인재 양성을 위한 디지털

www.etnews.com

 

Opinion

 

추가사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