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부도의 날>

제목부터 듣기 좋은 내용은 아니다. IMF사태는 대한민국이 광복이후 겪은 많은 사건들중 온국민을 매우 힘들게 했던 중요한 사건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영화의 배경이 된 시기가 내게는 초등학교 시절이였고, 그당시 어른들만큼 상황을 인식하진 못했겠지만 내게는 리만사태보다 더 큰 일이라고 지금까지도 여겨진다.

 

1.     영화속 각 기관들의 역할

영화에 나오는 기관 및 인물은 한국은행, 청와대 경제수석, 재정국 차관, 종금사, 투자일임으로 이뤄져있다. 그리고 극중 일반인을 대변하는 그릇공장이 나온다. 김혜수가 연기한 한국은행은 사실 금리조정을 하는 역할을 하지만 김혜수는 금융 위기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는 역할을 한다. 많은 위험을 보고했음에도 정부에서 미리 대처하지 못해서 큰 문제가 발생했다. 기재부는 경제 정책에 대한 결정을 하는것으로 나온다. 하지만 당시 실무적인 결정을 하는 곳이 기재부였는지 의문이 들긴한다. 유아인이 연기한 고려종금이라는 곳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기업들에게 다량의 어음을 발행한 제2금융권 역할을 한다. 사실상 이런 종금사들의 무분별한 어음발행이 국가부도에 크게 영영향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물론 이것만이 문제는 아니겠지만) 그리고 유아인이 차린 회사에 대한 정의가 영화에 자세히 나오진 않아 정의하기는 어려운 것 같다.

느낌점

1)    국가차원의 역할

영화에서는 IMF냐 부도처리를 하느냐 등등 말이 많지만, 무엇이 맞냐에 대한걸 묻는 질문을 조금 바꿔야한다. 정말 중요한건 예방이라고 생각한다. “문제를 미리 파악하고 대처했더라면!” 이라는 생각이 먼저 든다. 그만큼 문제가 커지고나면 막기가 힘든게 금융분야인 것 같다.

2)    투자의 관점

주식에도 소위말하는 누구나 버는 장이 있다. 하지만 실력은 상황이 힘들어졌을 때 나타난다. IMF사태로 국가부도까지 가려는 상황에서 돈을 벌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을 하는 사람이 얼마나될까? 투자라는 것은 변화의 흐름이 생길 때 어떤 방향으로든 가능성이 발생한다.

돈을 버는 것 자체만으로 행복한 것일까? 후반부 유아인이 노래방에서 나와서 걷는 장면을 볼 때, 유아인은 돈을 번 것이 마냥 행복할까? 생각해봤다. 내가 예측한 것이 맞아들어갈 때 그 기쁨은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이 무너지는것에 베팅을 하는일이 돈은 벌겠지만 힘들어하는 서민들 속에서 어떤 감정을 가질까? 이와 같은 여운이 남는다.

'영화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프리 가이 (와 메타버스에 대한 생각)  (0) 2021.08.19


오늘은 영화 Free guy 에 대한, 나의 생각과 게임 및 메타버스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를 나눠보고자 한다.

영화 <프리 가이>의 내용을 단순 게임으로 볼지, 메타버스의 세계로 확장해서 볼지 나는 잘 모르겠다.


[영화 내용]



게임 속에 NPC(배경 캐릭터)로 살아가는 가이. (캐릭터의 이름이 없기에 그냥 남자=가이 로써 살아간다.)
여기서 말하는 NPC 들의 개념을 게임을 하며 자란 세대는 알지만, 어른들은 이해하지 못했다.
게임을 하다보면 내가 플레이하는 캐릭터가 존재하고, 게임에 참여한 다른 플레이어의 캐릭터도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NPC 는 사람이 조종하는게 아닌 프로그램에 의해 계획된대로 행동하는 게임안의 로봇이라고 보면 된다.

영화는 이 <가이>가 AI 프로그램 세팅으로 인해, 자기 스스로 성장하고 생각하는 능력을 가지면서 벌어지는 내용이다.
하지만 영화는 가이가 단순한 프로그램인지, 게임 속 플레이어인지 알아내기까지 꽤 오랜시간 감춰둔채 이야기를 진행한다.
가이가 사랑으로 인해(비록 프로그램돼 있다고 하더라도) 성장한다는 점은 다른 어떤 트리거 보다 매력적이였다.
어떻게 보면 이점이 인간과 기계가 구분되는 점이라고 할 수 있으니 말이다.
가이의 친구 <버디> 의 행동과 생각 역시 마음에 든다. 자신의 자유의지를 가졌을때의 반응이 모두 같아야 하는건 아니니깐,
누군가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기대감이 있을수 있고, 누군가는 두려움과 안주의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는 이와 비슷한 느낌의 영화는 아래와 같다고 생각한다.
- 트루먼 쇼 : 많은 게임 참여자들이 Blue shirts guy 를 외치며 그의 행적을 보는 장면, 그리고 게임 설정상 제한된 환경에 살아가는 가이(그는 바다를 넘어서 갈 수 없다.)
- 에이 아이 : 인간을 위한 로봇이 스스로 생각하면서 자아를 찾아가는 부분에서 비슷한 점을 느꼈다.
- 아바타  : 여자 주인공인 밀리가 게임을 할때면, 몸 전체가 게임속으로 들어가는 것은 아니지만, 그가 게임의 캐릭터와 하나가 된다는 느낌을 받았다.


[상상들]


가상의 이야기 이긴 하지만 결국 이 게임에도 하나의 지배적인 플랫폼이 존재하고 다수의 사람들은 그 곳에 속하려고 한다.
이는 아무래도 사람들이 보다 다른 사람과 경쟁하고 영향력을 끼치고, 소통하고 싶어하기 때문일 것이다.
(거의 모든 사람이 그곳에 참여하고, 그 세계가 절대적인게 아니란 점에서는 게임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다. 새로운 버전을 준비한다니... 그리고 그 세계의 문을 닫아버린다니..)

내가 이 영화를 단순 게임으로 치부하려는 이유는
아무래도 <레디 플레이어 원>처럼, 본인의 정신과 신체 전체가 가상의 세계에 연결되지는 않기 때문에
그리고 그 가상의 세계가 단순이 총쏘고 아이템만 얻는 존재로 작동하는 매우 제한적인 공간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메타버스로 간주하고 싶은 내 마음은
가이가 보여준 자율성, 그리고 이후의 캐릭터들의 자유로운 모습들이 누군가 <어스2> 같은 플렛폼에 인공지능을 주입한다면 벌어질 수 있는 일이라는 생각이 들어서이다.

많은 자금이 몰리는 메타버스는 현재의 사람들이 보기엔 너무 이른 일, 괜한 돈놀이로 비춰지기도 한다.
"코로나라 사람들이 집에만 있으니 그렇지, 밖에 돌아다니면 그런건 처다도 안볼것이다." 라는게 많은 사람들의 생각이다.

그리고 그 기술력의 발달 (System, device, cloud)
좋은 플렛폼의 선별 (제페토, 샌드박스, 디 센트럴 랜드, 어스2 등등 중 소수만 남아있을 것)
과 같은 것들이 같이 잘 발달해야 하는데, 기업들은 메타버스에서 무엇을 기대하고 어느 방향으로 사업을 이어나갈지 궁금하다.

'영화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국가부도의 날  (0) 2021.10.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