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uSOqO/btqDrk8lhmW/HYFLHlRA72RUBkYUs9yQjk/img.jpg)
구글은 모든걸 알고있다? 제목이 유치하다고 느낄 사람도 있겠다. 이세돌 9단과의 바둑으로도 알려진 알파고로도 유명한 구글. 이런 구글의 검색능력에 감탄한 사람이라면 저런 제목을 써볼법도 하겠다. 요즘은 대학에서 학생들의 과제는 구글 없이는 안될정도니깐 말이다. 그런데 이것은 나같이 좀 모자란 사람들에게만 해당된게 아니였다. 바로 이책의 저자 세분은 모두 카이스트 교수님이니, 내가 아는것 말고도 구글 및 정보학에 대해 새로운 이야기를 해주지 않을까 싶은 기대감이 있었다. 워낙 컴퓨터, 인터넷 이런걸 모르는 터라 이참에 배울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다.
이 글은 아래와 같은 구조로 쓰도록 하겠다.
1. 책의 목차
2. 우리 생활과의 관계
3. 우리의 미래와 우리가 대응해야할 것
1. 책의 목차
1부 정하웅 KAIST 물리학과 교수
1강. 세상을 묶는 끈들의 갈래따기
2강. 복잡계 네트워크의 응용
3강. 데이터 과학과 복잡계
2부 김동섭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
1강. 정보 처리 기관으로서의 생명
2강. 어떻게 유전 정보를 해석할까?
3강. 나의 유전체, 나의 삶
3부 이해웅 KAIST 물리학과 교수
1강. 암호의 세계
2강. 양자 암호의 세계
3강. 양자 정보의 세계
2. 내용 및 우리생활과의 관계
1) 복잡계 네트워크와 데이터 과학
a) 내용 :
- 사회, 인터넷, 생명현상과 같은 복잡한 일은 모두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 네트워크는 모두 평균적인 중요도와 연관성을 갖는게 아니다. 예를들면, 마당발 처럼 핵심이 되는 인물이 있고, 소수의 친구만 사귀는 사람의 네트워크가 있는 것이다.
- 네트워크는 이중 마당발 친구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서로다른 분야의 마당발 친구를 연결하는 중계자의 역할도 매우 크다.
- 네트워크에는 정보가 필요하다.
b) 예시
- 무비스타, SNS 로 찾은 마당발, 논문 네트워크
- (응용) 카사노바로 AIDS 잡기 : 길거리에서 약을 나눠줄때 무작위의 사람에게 몇개씩 나눠주면 네트워크의 중심인자에게 결국 가게 돼있다. (네트워크가 병들었을때 해결할 수 있는 방법)
- (응용) 구글의 성공배경 : 네트워크의 중요도별로 상위 랭크 시킴, 구글의 독감 예측 등
- (응용) 신양개발
- (응용) 교통체증 해결
c) 적용
내가 학자이거나, 특정한 과학분야에 종사한다면 위와같은 정보 네트워크의 적용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을것이라 생각한다. 나같이 지극히 평범한 사람에게 이걸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까? 우선 교수님께서 말씀하신대로 <복잡계>, 즉, 복잡한게 있다면 그안에 <네트워크>가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해볼수 있겠다. 그리고 우리가 생각할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들, 그것을 1차원적인 인과관계가 아니라 네트워크의 관점에 두고 풀어 볼 수 있겠다.
- 회사 조직에서의 네트워크, 그중에서 핵심인물을 찾기, 그들을 중계해줄 사람을 찾기
- 영업을 할때, B2B 영업에서는 보통 의사결정권자를 찾아서 미팅을 하지만, 소비제 영업은 마당발 친구에게 제품이 절달되도록 노력하는것이 중요하겠다.
- 블로그나 온라인 스토어를 한다면 사람들이 주로 찾는 중심 키워드를 가져올 수도 있고. 영향력있는 사람을 골라 마케팅을 할수 있다.
- 이 밖에도 복잡하지만 아직 풀지 못한 문제가 있다면 네트워크로 대입해보자! 정보가 답을 줄 것이다.
2) 생물 정보학의 최전선
a) 내용
- DNA - RNA - 단백질 로 연결되는 이 구조들은 화학물질로 국한되지 않는다. 이것들은 모두 정보이고, 정보를 저장 및 전달, 변형하기위해 존재한다.
- 유전자도 정보이기에 네트워크가 중요하다. 핵심이 되는 유전자와 사용빈도가 적은 유전자가 있다.
- 유전정보를 해석하는 길로 접어들고 있다.
- 유전자 합성을 일반인도 해볼 수 있는 시대가 됐다. (DNA 2.0, Bioneer 와 같은 회사. iGEM 이라는 유전자 합성 경연대회가 있기도 하다)
b) 예시 및 적용
- 미래에는 키, 인간의 지능과 같은 복잡한 것도 원하는대로 조작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다.
3) 양자 암호와 양자 정보학
a) 내용
- 암호학은 매우 단순한 것으로부터 그것을 숫자화하고, 컴퓨터화하여 0과 1의 조합으로 암호를 만들수 있다.
- 양자 암호학은 기존의 0과 1 외에 그 사이의 애매한 값을 설정할수 있고, 이것은 훨씬 많은 수의 경우를 만들 수 있다.
- 양자 암호는 확률과 같아서 빛으로치면 편광판을 갖다대는것과 같이 필터를 갖다대고 그곳에 거쳐 들어오는 값들을 결과값으로 사용한다.
- 중간에 탈취하여 해석하기가 매우 어렵다.
b) 예시 및 적용
- 양자컴퓨터는 개발단계에 있으나, 단시간 시험 운영도 해봤고 양자신호를 일정거리 이상 전달해보기도 한 상태다.
* 정말 많은 그림자료가 있지만, 교수님들 허락없이 사용할 수는 없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책을 구매해보시면 얻을 수 있는게 매우 많겠습니다. 감사합니다.